
[※ 주의 ※] 아래를 이해하지 않고 이 글을 볼 경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Python] 출력 함수 print()에 관한 모든 것 1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출력의 방식은 다르지만, 대부분 가독성이 좋게 출력된다. 직접 사용자가 줄 및 공백을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고, 혹은 다른 특별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에 한하여 파이썬과 다른 언어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른 언어는 정렬을 대부분 문자열 포맷팅 혹은 줄바꿈, 공백으로 한다. 파이썬은 이를 자동으로 해주는 모듈이 있으니, pprint 모듈 되시겠다. 먼저, pprint는 pretty-print의 약자로, 말 그래도 "예쁘게 출력하기", 즉 가독성이 좋게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다. 1. pprint..

Python 초보자들이 먼저 배우고, 정말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내장 함수를 꼽으라 하면 print를 꼽을 수 있다. print문은 화면에의 출력 그 이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함수 중 하나이다. 단순 출력밖에 모른다면, 아직 print문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rint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자. 이번 글을 파이썬 3을 기준으로 다룰 예정이니 파이썬 2에서의 print 구문은 다루지 않을 예정이다. 1. print() print() 함수는 파이썬 내장함수 중 하나로 특별히 다른 모듈을 활용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 실제로 함수 자체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출력으로 을 얻을 수 있고 즉..

C++에서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어떤 것을 써야 할까?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가장 표준적인 방법은 int main()과 함께 따라오는 return 0; 구문이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그러나, 종료하는 방법 중 exit(0)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적으면 안되나? 왜 이 방법은 표준이 되지 않았을까?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하여 알아보고, 왜 return 0;가 표준이 되었는지 살펴보자. 1. return 0 의 뜻 C / C++에서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무의식적으로 쓰는 구문은 main함수의 끝에 붙어있는 'return 0;' 이다. 이에 대한 뜻은, 프로그램을 끝내고 난 뒤 정수 '0'을 반환한다는 뜻이다. 근데, 이..

파이썬이 최근에 정식으로 3.10 업데이트를 하면서, 새로운 제어문의 꼴이 생겼다. match문이 이번 포스팅의 주인공이다. 파이썬은 여러 조건 분기를 if...elif...else를 통해 처리하였지만, 3.10을 통해 구조적 패턴 매칭(Structural Pattern Matching)을 새로 도입하였다. C / C++나 자바나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했던 사람들은 switch문, 혹은 Rust의 경우 패턴 매칭이 익숙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파이썬에는 match-case문이 새로 등장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 match-case문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match match-case문은 match 입력에 대하여 일치하는 패턴가 있다면 해당 case문에 속한 코드를 실행한다. 만약 해당되는 ..

파이썬에는 sort()라는 list 자료형 메서드가 존재한다. (sorted 함수는 다른 포스팅으로 다루겠다) 자주 사용하지만, 제대로 정리할 필요는 있을 거 같아 이 포스팅으로 정리한다. 1. sort() sort() 메서드는 list 자료형의 메서드중 하나로, list를 제자리에서 정렬을 하는 역할을 한다. 원래의 list를 수정하므로 파괴적 메서드이다. 다른 말로, sorting이 가능한 자료형이 list안에 담겨있고, 각 자료형 간 비교가 가능하다면 (쉽게 말해, '

C++에서 반복문의 대명사 for문으로 배열이나 container에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다만, 각 원소에 대한 작업을 쉽게 해 줄 수 있는 STL 함수가 있으니, std::for_each로 한 번에 처리하여보자. 1. for_each (※ https://www.cplusplus.com/reference/algorithm/for_each/에서 함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C++의 알고리즘 관련 헤더 에는 for_each라는 함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Function for_each(InputIterator first, InputIterator last, Function fn) for_each는 3개의 인자를 받는다. InputIterato..
- Total
- Today
- Yesterday
- 구현
- Network
- docker
- 문자열
- 함수
- CSAPP
- 헤더
- Proactor
- BRONZE
- 백준
- effective async
- MIN
- GDSC
- bomblab
- 제어문
- for
- C++
- Python
- 사칙연산
- Max
- 프로그래밍
- react
- equal
- 알고리즘
- JS
- 수학
- 시간복잡도
- C
- BOJ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