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에서는 변수를 선언하는 세 가지 키워드가 있다. 고전 JS부터 이어진 var와, ES6에서 새로 도입된 키워드 const, let이 있다. 현재 많은 JS 개발자들이 var 대신 const, let을 권장하고 있지만, 아직 많은 고전 JS 코드에서 var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임의의 변수를 let과 const로 선언할 경우 var보다 많은 장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호이스팅 문제에서 자유롭거나, 중복된 변수 방지 등등 활용할 수 있다. var, let, const을 비교한 글은 여러 블로그에서 찾을 수 있으니, 구글에서 이에 대하여 검색하면 쉽게 얻을 수 있다. (만약 귀찮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면 된다.) 그러면, var가 let과 const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나은 경우가 존..

컴퓨터가 브라우저에서 웹을 접속하는 첫 과정으로, 웹 브라우저에 웹사이트 주소(예를 들어, https://www.google.com)를 입력하면 실제 홈페이지가 열린다. 근데, 생각해보면 모든 서버는 고유한 주소(IP 주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 브라우저에 "https://www.google.com"를 입력하면 이것이 IP 주소로 자동 변환되는 것인가? 브라우저에 모든 서버에 대한 주소를 담고 있는 것인가? 모든 서버에 대한 주소를 담고 있으면, 새로 생성된 서버에 대한 주소는 누가 가지고 있는 것인가? 우리가 모르는 번호가 있으면 전화로 114에 물어보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구글링이 있듯이, 브라우저도 해당 주소에 대하여 모르면 "구글링"을 수행한다. 이때, 114 안내소, 구글 검색처럼 홈페이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시간복잡도
- 사칙연산
- 수학
- Max
- react
- 알고리즘
- 제어문
- docker
- 구현
- Network
- 함수
- effective async
- C++
- C
- BOJ
- Proactor
- Python
- CSAPP
- BRONZE
- 백준
- GDSC
- 프로그래밍
- 문자열
- MIN
- equal
- bomblab
- for
- 헤더
- 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